▶ 개발자는 3D직업? 미국에서 연봉을 가장 많이 받는 직업 1위로 선망의 직업인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한국에서는 3D 직업이라 불리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기피순위 1위의 직업이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소위 ‘잘 나가는’ 개발자들을 만나 그들이 이야기를 들어본다. 넷플릭스, 주니퍼네트웍스 등 세계적인 기업에서 일하는 실리콘밸리의 한인 개발자들과 국내 유명 개발자들을 밀착취재하여 그들의 생활과 일을 관찰하고 개발자가 갖춰야 할 조건에 대해 들어본다. ? ▶ 인재양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노력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소프트웨어도 결국 사람이 만든다. 미국의 경우 IT기업 IBM이 뉴욕시·뉴욕시립대가 손잡고 2011년 설립한 실험학교 'P-TECH'은 새로운 교육모델로 오바마의 극찬을 받은 바 있다. 국내에서도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의 디캠프 같은 창업프로그램 외에도 소프트웨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네이버의 NHN NEXT, 미래창조부에서 설립한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등 국내에서도 소프트웨어 인재양성을 위한 노력에 속도를 박차고 있다. ? ▶ 세계는 코딩교육 열풍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인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세계적으로 코딩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영국과 미국은 이미 코딩교육을 정규 교과과정에 도입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당장 오는 9월부터 전국 초중학교 정규 교과과목에 코딩 수업을 포함시킬 예정이다.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나서 코딩교육을 권장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정부는 소프트웨어 과목을 2018년부터 고교 정규 과목으로 추진 중이다. 세 학교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