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소식

기술창업을 준비중인 창업자를 위한 다양한 창업소식을 제공합니다.
  • 2021년 1조 5,179억원 규모 창업지원 통합 공고 시행
  • 2021-01-06 조회수 4,334
한국판뉴딜 대한민국 대전환 1조 5,179억원 규모 2021년 창업지원 통합 공고 
중소벤처기업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2021년도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을 조사한 결과, 15개 부처(90개 사업)와
17개 광역지자체(104개 사업)에서 1조 5,179억원 규모의 창업사업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16년부터 중앙부처의 개별 창업지원 사업공고를 통합해 ‘창업지원포털 (KStartup)’ 누리집을 통해 안내해 왔으며,
참여기관과 공고사업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 (’19) 14개 기관, 69개 사업 → (’20) 16개 기관, 90개 사업 → (’21) 32개 기관, 194개 사업


‘20년까지 중앙부처 사업만을 대상으로 통합공고를 시행했으나, 정책수요자의 접근성 향상과 정보제공 창구 일원화를 위해
’21년 부터는 광역지자체 사업을 추가해 104개의 사업을 포함했습니다.


[연도별 창업지원 현황]

01 연도별 창업지원 현황 -2021년 정부 창업지원 통합공고 예산은 1조 5,179억원으로 전년(1조 4,517억원)대비 662억원(4.6%)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 -2021년부터 광역지자체 사업까지 포함하여 통합공고 참여기관·대상사업 크게 증가 ('20년) 16개 부처 90개 사업 → ('21년) 15개 부처 &17개 광역지자체 194개 사업 <연도별 창업지원 통합공고 현황> 예산 5,764억원 기관 6개 사업65개/예산 6,158억원 기관7개 사업 62개/예산 7,796억원 기관7개 사업60개 / 예산 11,181억원 기관 14개 사업 69개 / 예산 14,517억원 기관 16개 사업 90개/ 예산 15,179억원 기관 32개 사업 194개


창업지원 관련 예산은 일자리 창출과 비대면 기업 육성 등 정책적 중요성에 따라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1년에도 전년(1조 4,517억원) 대비 662억원(4.6%↑) 증가한 1조 5,179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도별 창업지원 통합공고 현황> 구분 '16년 참여기관 6 중앙 6 지자체 - 대상사업 65 중앙 65 지자체 - 지원예산 5,764 중앙 5,761 지자체 - '17년 참여기관 7 중앙 7 지자체 - 대상사업 62 중앙 62 지자체 - 지원예산 6,158 중앙 6,158 지자체 - '18년 참역기관 7 중앙 7 지자체 - 대상사업 60 중앙 60 지자체 - 지원예산 7,796 중앙 7,796 지자체 - '19년 참여기관 14 중앙 14 지차체 - 대상사업 69 중앙 69 지자체 - 지원예산 11,181 중앙 11,181 지자체 - '20년 참여기관 16 중앙 16 지자체 - 대상사업 90 중앙 90 지자체 - 지원예산 14,517 중앙 14,517 지자체 - '21년 참여기관 32 중앙 15 지차체 17 대상사업 194 중앙 90 지자체 104 지원예산 15,179 중앙 14,368 지자체 811



[기관별 창업지원 현황]

02 기관별 창업지원 현황(광역지자체) -광역지자체는 17개 시도에서 104개 사업, 811억원 지원 / 서울기사 14개 사업, 237억원(29.2%)으로 지자체중 가장 높은 비중 중앙부처  광역지자체  기 관  예산  비율  기 관  예산  비율  중소벤처기업부  12330.1  81.23  서울시  237.0  1.56  문화체육관광부  491.6  3.24  경기도  206.4  1.3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57.7  3.02  대전시  77.6  0.51  고용노동부  298.5  1.97  부산시  52.2  0.34  농림축산식품부  161.9  1.06  충청남도  50.4  0.33  특허청  153.2  1.01  울산시  42.0  0.28  농촌진흥청  122.0  0.80  경상북도  38.1  0.25  환경부  120.0  0.79  강원도  24.4  0.16  보건복지부  78.0  0.51  전라북도  22.6  0.15  해양수산부  70.6  0.46  대구시  17.5  0.12  교육부  58.1  0.38  경상남도  9.2  0.06  기획재정부  16.3  0.11  세종시  7.4  0.05  법무부  8.4  0.06  인천시  7.3  0.05  기상청  1.6  0.01  제주도  6.8  0.04  국토교통부  0.7  0.01  전라남도  4.8  0.03  소계  (15개 부처, 90개 사업)  1조 4,368억원  (94.7%)  광주시  4.0  0.03  충청북도  3.0  0.02  소계  (17개 시도, 104개 사업)  811억원  (5.3%)  32개 기관, 194개 사업, 1조 5,179억원

* 중앙부처 및 광역지자체 창업지원 예산 규모순


[지원유형별 창업지원 현황]

03 지원유형별 창업지원 현황 -창업사업화 지원예산 중점지원, 창업교육 예산 증가로 창업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인식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21년 창업지원 통합공고 유형별 예산 (단위 : 개, 억원, %) >  구분  사업화  R&D  시설·보육  창업교육  멘토링  행사  합계  예산  8,745  4,207  1,080  828  229  90  15,179  (비율)  (57.6)  (27.7)  (7.1)  (5.5)  (1.5)  (0.6)  (100)  사업수  94  6  46  15  19  14  194  (비율)  (48.5)  (3.1)  (23.7)  (7.7)  (9.8)  (7.2)  (100) 청년(만39세 이하) 창업자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6개 중앙부처와 12개 시도에서 29개 사업, 1,413억원 규모의 프로그램 지원 예정


지원유형별로는 창업사업화(8,745억원, 57.6%), 기술개발(R&D)(4,207억원, 27.7%),
시설·보육(1,080억원, 7.1%), 창업교육(828억원, 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창업사업화 지원예산은 ’20년 7,315억원에서 1,430억원이 증가한 8,745억원(57.6%)으로 중점 지원할 예정이며,
창업교육에 대한 예산도 증가해 창업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인식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1년 창업지원 통합공고 유형별 예산 (단위 : 개, 억원, %) >  구분  사업화  R&D  시설·보육  창업교육  멘토링  행사  합계  예산  8,745  4,207  1,080  828  229  90  15,179  (비율)  (57.6)  (27.7)  (7.1)  (5.5)  (1.5)  (0.6)  (100)  사업수  94  6  46  15  19  14  194  (비율)  (48.5)  (3.1)  (23.7)  (7.7)  (9.8)  (7.2)  (100)

또한 청년(만39세 이하) 창업자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 6개 중앙부처 와 12개 시도에서 29개 사업,
1,413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으로 중기부는 ’KStartup‘ 누리집를 통해 별도 안내 페이지를 구성·서비스합니다.

* 전통문화 청년창업 육성지원(문체부), 창업성공패키지(청년창업사관학교, 중기부),
농식품 벤처창업 인턴제(농식품부), 기상기후산업 청년창업 지원(기상청) 등


후속 세부사업 공고는 각 부처와 지자체 누리집에서 개별 공고할 예정 창업지원포털 k-startup (www.k-startup.go.kr) 중기부 누리집 (www.mss.go.kr)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통합공고의 세부 내용은 창업지원포털 KStartup(www.k-startup.go.kr) 과
중기부 누리집(www.m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에도 문의가 가능합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