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소식

기술창업을 준비중인 창업자를 위한 다양한 창업소식을 제공합니다.
  • 일자리 창출도 혁신! 규제자유특구 고용현황
  • 2021-01-21 조회수 957
대한민국 대전환 한국판뉴딜 일자리 창출도 혁신! 규제자유특구 규제자유특구 고용현황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 고용현황 및 계획 특구 지정 전 6,778명과 비교해 1,255명 고용 증가('20년 12월말 기준) > '21년 12월까지 829명 추가 고용 계획으로 총 2,084명의 일자리 창출 기대  <규제자유특구 지정 전후 특구사업자 고용현황 및 계획> 구분 특구 지정전(명) '20.12월말(명) 고용증가(명) '21.12월까지 고용 계힉 포함(명. 누계) 1차 특구(7개) 1,177 1,660 483(41.0%) 1,888(+711) 2차특구(7개) 2,978 3,549 571(19.2%) 3,849(+871) 3차 특구 (7개) 2,623 2,824 201(7.7%) 3,125(+502) 계 6,778 8,033 1,255(18.5%) 8,862(+2,084)

중소벤처기업부는 1차부터 3차까지 지정한 규제자유특구("20년 12월말 기준)의 특구 내 기업 등 고용현황은 8,033명으로
특구로 지정 전(6,778명)과 비교해 1,255명이 증가했으며, ’21년 12월까지 829명을 추가 고용할 계획으로
총 2,084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 대상/방법 : 1차~3차 특구사업자(기업 등) 400개사 중 공기업, 정부출연연 등(74개)을 제외한 326개사의 특구 내 소재 사업장별 고용현황을 직접 조사

※ 한국고용정보원(고용보험 가입인원 수)과 한국기업데이터(기업규모, 업종 등) 정보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기업별 특구 내 이전 형태(본사이전, 지사설립 등) 분석으로 기업 직접조사의 신뢰도를 제고

규제자유특구의 일자리 창출은 주로 1차와 2차 특구에서 나타났고(1,054명),
지난해 7월 지정 후 ‘21년 실증을 준비 중인 3차 특구에서도 일부 증가(201명) 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고용현황(‘20.7월기준 1차, 2차특구) 조사를 통해 확인된 일자리 창출성과(662명)가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별구 고용현황 전북 친환경자동차 특구, 최다 고용증가(+148명)로 지역 내 일자리 회복에 지속 기여 중 <지역별 특구사업자 고용현황> 고용증가 (1,255명) 1차 지정 특구 전남 115 대구 102 강원 82 세종 58 부산 55 충북 54 경북 17 2차 지정 특구 전북 148 대전 146 광주 65 울산 58 경남 55 제주 54 전남 45 571명 3차 지정특구 전북 49 대전(추가) 43 부산(추가) 36 울산29 강원 21 충남 12 경북 9 부산4 대구 -2 201명 -본사이전. 지사 설립 등 타 지역에서의 기업 이전을 통한 고용 증가 비중은 40.9% (513명)


특구별로는 전북 친환경자동차특구가 최다 고용증가(+148명)를 보이며 지엠(GM) 철수 후 지역 내 일자리 회복에 지속적으로 기여 중이고,
초소형전기차 등의 생산 공장이 구축된 전남 e-모빌리티 특구(+115명)와 대구(+102명),
대전(+146명)의 바이오 분야 특구 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두드러졌습니다.

타 지역에서의 이전 기업(143개)을 통한 고용 증가 비중은 40.9% (513명)로 본사이전, 지사 설립 등
지역으로의 기업 이전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실증사업의 진전에 따라 상용화 등을 위한 추가 신규 고용도 예정돼 있어
규제자유특구제도가 지역의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 지사설립 116개사(379명), 본사이전 23개사(110명), 특구내 창업 4개사(24명)이며,
143개 이전기업 중 수도권에서 이전한 기업 66개사에서 240명의 일자리가 창출됨

기업규모별·업력별 고용현황 -기업규모로는 소기업·소상공인, 중기업, 중견기업이 전체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 -업력별로는 창업 후 7년 이상 기업이 54.7%(+686명)로 고용증가의 대부분을 차지  <기업규모별 창출성과> 소기업·소상공인 546명 (43.5%) 중기업 385명(30.7%) 중견기업 177명(14.1%) <업력별 일자리 창출 성과> 창업후3년미만 267명(21.3%) 창업후3년이상7년미만 302명*24.1%) 창업후7년이상 686명(54.7%)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소상공인(+546명, 43.5%), 중기업(+385명, 30.7%), 중견기업(+177명, 14.1%)이
전체 특구사업자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해 중소기업 위주로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업력별로는 창업 후 3년 미만 21.3%(+267명), 창업 후 3년 이상 7년 미만 24.1%(+302명), 창업 후 7년 이상 54.7%(+686명)로
전체 특구사업자 중 창업 후 7년 이상 기업에서 고용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지난 ’20년 7월 조사*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사업화 과정에 대한 경험과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기술 성숙도의 차이에 따른 사업화 추진력 격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창업 후 3년 미만 14.2%, 창업 후 3년이상 ~ 7년 미만 14.2%, 창업 후 7년 이상 71.6%

업종별 고용현황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이 1,050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의 83.7%를 차지 -모빌리티(자율차, 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의 비중(699명, 55.7%)이 가장 높음  <규제자유특구 지정 전후 특구사업자 주요 업종별 고용현황> 구분(대분류) 특구지정전(명) 20.7월말(명) 고용증가(명) 제조업 5,413 6,112 699(55.7%) 정보통신업 344 566 222(17.7%)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 398 527 129(10.3%) 기타 623 828 205(16.3%)

업종별로 고용 규모, 증가율이 모두 높은 업종은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1,050명)으로 전체 고용 증가(1,255명)의 83.7%를 차지했고
이중 모빌리티(자율차, 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의 비중(699명, 55.7%)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규제자유특구) 제조업 내 고용증가 주요 3대 분야
①전기장비 및 전자부품·통신장비 제조업(+189명)
②의료·정밀·광학기기,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177명)
③자동차 및 트레일러,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111명)

향후 특구사업자는 ’21년말 실증 종료 시 까지 총 829명의 신규 고용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증 완료 후
신기술·서비스의 상용화 추진과정에서 본격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추가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