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artup Issue & Trend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의 다양한 트렌드와 이슈를 제공합니다.
  • 요즘 제일 잘 나간다는 메타버스가 궁금해?

  • 최초작성일  2021-04-02 최종수정일  2024-11-07 조회수 8,473
미국 증시에 3월 상장한 로블록스(메타버스 서비스사)는 단숨에 시
총 40조원에 이르며 38년 역사의 게임사 EA 가치를 뛰어넘었다.

메타버스 성장의 기반인 게임 산업은 이제 엔터테인먼트 주류다. 
전세계 게임 이용자는 27억명, 시장 규모는 1790억달러에 달해 영화와 음악을 합
친 것보다 크다.
메타버스란 뭘 말하는 거야?

메타버스는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1992년 출간된 SF소설 ‘스노크래시(Snow Crash)’에서 유래했다.

가상의 분신인 아바타가 활동하는 가상공간 세계를 의미

로블록스는 물론 마인크래프트와 포트나이트 등그래픽과 사용자경험(UX)을 강화한 온라인 게임이 주를 이룬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힙’한 버전

한 비영리 기술연구법인(ASF)에 따르면 메타버스는 현실의 증강이냐 모방이냐, 개인 혹은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느냐의 차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뉜다.

증강현실
(ex.포켓몬고)

라이프로깅
(ex.소셜미디어)

거울세계
(ex.구글어스)

가상세계
(ex. VR게임)

1830s - 전신
1920s- 전화
1980s - 휴대전화
1990s- 인터넷
1995 - 메신저
2010 - 영상전화
2020 - 가상현실(VR)
어쩌면 인터넷이 진화하게 될 미래!
"우린 로블록스, 제페토에서 논다~"

10~20대가 열광하는 까닭은?

ROBLOX
20대절반 이상
플레이 시간,
유튜즈의 3배

ZEPETO
제페토 국내 이용자
80%이상이 10대

‘모바일 네이티브’라 불리는 이들(Z세대)에게 현실과 가상세계 구분은 모호하다. 따라서 더 그럴듯하게 구현된, 현실과 유리되지 않은 가상세계에 열광한다. 

이용자 스스로 게임을 만들 수 있는 로블록스 내에서 200만명 이상이 개발자로 활동하며, 35만명 이상이 수익을 낸다.
메타버스 올라타야 인싸!

작년 9월, K팝 그룹 블랙핑크가 제페토 가상공간에서 연 팬사인회에 4600만명이 몰렸다. 

같은달  액션게임 포트나이트에선 BTS가‘다이너마이트’ 안무 버전 뮤직비디오를 처음 선보였다.
"Z세대를 잡아라"
가상공간의 청와대도 등장

출처=샌드박스,정화대유튜브 캡처

작년 5월 우리 청와대는 어린이날을 맞아 마인크래프트로 만든 청와대 가상 공간을 공개했다. 

같은달 미국의 UC버클리대는 마인크래프트 상의 비공식 졸업행사를 개최해 다수 미디어의 집중 관심을 받았다.
브랜드X게임
마케팅이 되는 시대

ZEPETO X GUCCI

메타버스는 추후 게임과 콘서트 등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패션과 유통, 교육, 의료 등으로 무궁한 확장 가능성을 담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와 게임의 결합은 현재진행형

버버리가 동영상 서비스 트위치를 통해 지난해 제품 컬렉션 발표회를 가졌으며, 루이뷔통 또한 ‘리그오브레전드’(LOL) 게임과 콜라보 제품들을 내놓았다.
아이템 판매만 생각하니?
돈되는 메타버스, 시장이 주목!!

트래픽 유입에 따른 서비스 확대
출처 = KB증권

유료아이템 판매 - 트래픽증가
유료아이템 판매 - 광고, 마케팅솔루션 제공
유료아이템 판매 - 광고, 이커머스콘서트, 실물세계 연계

XR 시장 전망
자료: 글로벌시장조사기관(PwC)
2025년 537조원 > 2030년 1700조원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메타버스의 수익모델은 점점 더 다변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게임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가 그간 유료아이템 판매를 수입원으로 삼아왔다면, 추후 트래픽 증가에 따라 광고 등 마케팅 솔루션, 이커머스와 콘서트 등 실물세계 연계로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어떤 기업들이 각광받고 있나 
플랫폼 

ROBLOX 
FORTNITE 

메타버스 유형의 게임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는 로블록스 외에도 '포트나이트'의 에픽게임스, '동물의 숲'의 닌텐도, 사용자 중심으로 전세계 게임 리그의 새판을 짠 LOL의 라이엇게임즈 등을 꼽는다. 
아바타 꾸미기와 소통에 주력하며 여러 K팝 가수 와 협업하는 제페토 서비스를 선보인 네이버제트, 럭셔리 브랜드펜디 가상 매장을 구현한 스타트업 패스커 등은 현실 연계성이 높은 메타버스를 지향한다.
어떤 기업들이 각광받고 있나
기술 

Pokemey GO 
unity
FOCUS

NVIDIA
출처=엔비디아 홈페이지 캡처

유니티(Unity)는 포켓몬고게임엔진을 개발하는 등 검증된 3D 비디오게임 엔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접속자 데이터 관리와 스트리밍 기술 등 특화!! 

엔비디아(Nvidia)는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개념을 주도적으로 만들어내며 점유율 80%에 이른다. 메타버스 시대 주목할 기술 기업!!
주도권 놓칠라...앞다퉈 뛰어드는 빅테크

Facebook
Oculus
페이스북 오큘러스VR / 출처= BodNara

페이스북은 가상현실 구현 헤드셋인 오큘러스VR을 개선해 내놓으며 가상현실 시장 선점 시도!!

스냅챗의 AR렌즈 전세계 사용자는 매일 평균 2억명에 이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 게임기 등을 무기 삼아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공략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애플도 AR 기기를 출시하리란 관측이 제기된다.
주도권 놓칠라...
정부, 육성·지원책 박차

정부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실감콘텐츠 핵심인프라(CPND)
XR기업 XR인재 XR기술
→ 기존실감콘텐츠 전략 범위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XR+제조 XR+의료 XR+건설 XR+교육 XR+국방
→ 가상융합경제 전략 방안

정부는 2025년까지 XR산업을 통한 경제효과 30조원 창출, 세계5대 XR 선도국 진입을 목표로 내걸었다.
중독, 범죄 등 사회문제 ‘판박이’
메타버스 현상이 가져올 부작용은?

세컨드 라이프

현실과 더욱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가상세계는 몰입에 따른 일상의 황폐화 등 중독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

게임 '세컨드라이프' 사례에서 보듯 현실 속 도박, 사기, 매춘 등 범죄가 가상현실에서도 다를 바 없이 벌어진다.

가상현실 속 범죄의 사법 관할권 소재, 사이버 마약 등 신종 범죄 대응은 새롭게 풀어야 할 숙제다.
VR
5G 

메타버스 진화 향배는? 
기술 기반

투박한 VR 헤드셋에서 5G 구축까지

기술적으로는 실제 같은 가상현실 구현이 관건인데, 투박하다는 평을 받는 VR 헤드셋 기기의 사용성 개선이 핵심 과제다. 아울러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 시간이 짧은 5G 통신 구축도 필수다. 

우수한 인터넷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엔 기회?
메타버스 진화 향배는?
디자인 혁신

메타버스는 기존의 디자인이 담당해온 역할과 기능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가상현실 디자이너는 폭넓은 경제학과 도시공학, 인류학적 지식을 갖춰야 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메타버스가 단순한 서비스를 넘어 새로운 세상의 창조를 추구하게 되리란 관점에서다
유선전화 59년
자동차 55년
퍼스널 컴퓨터 28년
스마트폰 14년

기술 도입 후
80% 대중화 까지 걸린 시간

메타버스 보급까지는?

"게임은 목적 없는 유희?"
고정관념 갇힌다면 유망한 기회가 익숙한 실패로 귀결될 수도...
상생·포용·도약  대한민국 대전환 한국판뉴딜

국민과 함께 뛰는 
대한민국 경제의 원동력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K STARTUP

요즘 제일 잘 나간다는 
메타버스가 
궁금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미국 증시에 3월 상장한 로블록스(메타버스 서비스사)는 단숨에 시
총 40조원에 이르며 38년 역사의 게임사 EA 가치를 뛰어넘었다.

메타버스 성장의 기반인 게임 산업은 이제 엔터테인먼트 주류다. 
전세계 게임 이용자는 27억명, 시장 규모는 1790억달러에 달해 영화와 음악을 합
친 것보다 크다.
메타버스란 뭘 말하는 거야?

메타버스는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1992년 출간된 SF소설 ‘스노크래시(Snow Crash)’에서 유래했다.

가상의 분신인 아바타가 활동하는 가상공간 세계를 의미

로블록스는 물론 마인크래프트와 포트나이트 등그래픽과 사용자경험(UX)을 강화한 온라인 게임이 주를 이룬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힙’한 버전

한 비영리 기술연구법인(ASF)에 따르면 메타버스는 현실의 증강이냐 모방이냐, 개인 혹은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느냐의 차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뉜다.

증강현실
(ex.포켓몬고)

라이프로깅
(ex.소셜미디어)

거울세계
(ex.구글어스)

가상세계
(ex. VR게임)

1830s - 전신
1920s- 전화
1980s - 휴대전화
1990s- 인터넷
1995 - 메신저
2010 - 영상전화
2020 - 가상현실(VR)
어쩌면 인터넷이 진화하게 될 미래!
"우린 로블록스, 제페토에서 논다~"

10~20대가 열광하는 까닭은?

ROBLOX
20대절반 이상
플레이 시간,
유튜즈의 3배

ZEPETO
제페토 국내 이용자
80%이상이 10대

‘모바일 네이티브’라 불리는 이들(Z세대)에게 현실과 가상세계 구분은 모호하다. 따라서 더 그럴듯하게 구현된, 현실과 유리되지 않은 가상세계에 열광한다. 

이용자 스스로 게임을 만들 수 있는 로블록스 내에서 200만명 이상이 개발자로 활동하며, 35만명 이상이 수익을 낸다.
메타버스 올라타야 인싸!

작년 9월, K팝 그룹 블랙핑크가 제페토 가상공간에서 연 팬사인회에 4600만명이 몰렸다. 

같은달  액션게임 포트나이트에선 BTS가‘다이너마이트’ 안무 버전 뮤직비디오를 처음 선보였다.
"Z세대를 잡아라"
가상공간의 청와대도 등장

출처=샌드박스,정화대유튜브 캡처

작년 5월 우리 청와대는 어린이날을 맞아 마인크래프트로 만든 청와대 가상 공간을 공개했다. 

같은달 미국의 UC버클리대는 마인크래프트 상의 비공식 졸업행사를 개최해 다수 미디어의 집중 관심을 받았다.
브랜드X게임
마케팅이 되는 시대

ZEPETO X GUCCI

메타버스는 추후 게임과 콘서트 등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 패션과 유통, 교육, 의료 등으로 무궁한 확장 가능성을 담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와 게임의 결합은 현재진행형

버버리가 동영상 서비스 트위치를 통해 지난해 제품 컬렉션 발표회를 가졌으며, 루이뷔통 또한 ‘리그오브레전드’(LOL) 게임과 콜라보 제품들을 내놓았다.
아이템 판매만 생각하니?
돈되는 메타버스, 시장이 주목!!

트래픽 유입에 따른 서비스 확대
출처 = KB증권

유료아이템 판매 - 트래픽증가
유료아이템 판매 - 광고, 마케팅솔루션 제공
유료아이템 판매 - 광고, 이커머스콘서트, 실물세계 연계

XR 시장 전망
자료: 글로벌시장조사기관(PwC)
2025년 537조원 > 2030년 1700조원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메타버스의 수익모델은 점점 더 다변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게임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가 그간 유료아이템 판매를 수입원으로 삼아왔다면, 추후 트래픽 증가에 따라 광고 등 마케팅 솔루션, 이커머스와 콘서트 등 실물세계 연계로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어떤 기업들이 각광받고 있나 
플랫폼 

ROBLOX 
FORTNITE 

메타버스 유형의 게임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는 로블록스 외에도 '포트나이트'의 에픽게임스, '동물의 숲'의 닌텐도, 사용자 중심으로 전세계 게임 리그의 새판을 짠 LOL의 라이엇게임즈 등을 꼽는다. 
아바타 꾸미기와 소통에 주력하며 여러 K팝 가수 와 협업하는 제페토 서비스를 선보인 네이버제트, 럭셔리 브랜드펜디 가상 매장을 구현한 스타트업 패스커 등은 현실 연계성이 높은 메타버스를 지향한다.
어떤 기업들이 각광받고 있나
기술 

Pokemey GO 
unity
FOCUS

NVIDIA
출처=엔비디아 홈페이지 캡처

유니티(Unity)는 포켓몬고게임엔진을 개발하는 등 검증된 3D 비디오게임 엔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접속자 데이터 관리와 스트리밍 기술 등 특화!! 

엔비디아(Nvidia)는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개념을 주도적으로 만들어내며 점유율 80%에 이른다. 메타버스 시대 주목할 기술 기업!!
주도권 놓칠라...앞다퉈 뛰어드는 빅테크

Facebook
Oculus
페이스북 오큘러스VR / 출처= BodNara

페이스북은 가상현실 구현 헤드셋인 오큘러스VR을 개선해 내놓으며 가상현실 시장 선점 시도!!

스냅챗의 AR렌즈 전세계 사용자는 매일 평균 2억명에 이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엑스박스 게임기 등을 무기 삼아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공략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애플도 AR 기기를 출시하리란 관측이 제기된다.
주도권 놓칠라...
정부, 육성·지원책 박차

정부 가상융합경제 발전 전략

실감콘텐츠 핵심인프라(CPND)
XR기업 XR인재 XR기술
→ 기존실감콘텐츠 전략 범위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XR+제조 XR+의료 XR+건설 XR+교육 XR+국방
→ 가상융합경제 전략 방안

정부는 2025년까지 XR산업을 통한 경제효과 30조원 창출, 세계5대 XR 선도국 진입을 목표로 내걸었다.
중독, 범죄 등 사회문제 ‘판박이’
메타버스 현상이 가져올 부작용은?

세컨드 라이프

현실과 더욱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가상세계는 몰입에 따른 일상의 황폐화 등 중독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

게임 '세컨드라이프' 사례에서 보듯 현실 속 도박, 사기, 매춘 등 범죄가 가상현실에서도 다를 바 없이 벌어진다.

가상현실 속 범죄의 사법 관할권 소재, 사이버 마약 등 신종 범죄 대응은 새롭게 풀어야 할 숙제다.
VR
5G 

메타버스 진화 향배는? 
기술 기반

투박한 VR 헤드셋에서 5G 구축까지

기술적으로는 실제 같은 가상현실 구현이 관건인데, 투박하다는 평을 받는 VR 헤드셋 기기의 사용성 개선이 핵심 과제다. 아울러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 시간이 짧은 5G 통신 구축도 필수다. 

우수한 인터넷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엔 기회?
메타버스 진화 향배는?
디자인 혁신

메타버스는 기존의 디자인이 담당해온 역할과 기능을 뛰어넘는 새로운 관점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 가상현실 디자이너는 폭넓은 경제학과 도시공학, 인류학적 지식을 갖춰야 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메타버스가 단순한 서비스를 넘어 새로운 세상의 창조를 추구하게 되리란 관점에서다
유선전화 59년
자동차 55년
퍼스널 컴퓨터 28년
스마트폰 14년

기술 도입 후
80% 대중화 까지 걸린 시간

메타버스 보급까지는?

"게임은 목적 없는 유희?"
고정관념 갇힌다면 유망한 기회가 익숙한 실패로 귀결될 수도...
상생·포용·도약  대한민국 대전환 한국판뉴딜

국민과 함께 뛰는 
대한민국 경제의 원동력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K STARTUP

요즘 제일 잘 나간다는 
메타버스가 
궁금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 로블록스의 초대형 상장을 계기로 ‘메타버스’가 국내외 IT 업계의 가장 핫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 메타버스의 개념과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성장성과 리스크 요소를 점검해 본다.

※ 카드뉴스 마지막 페이지에서 동영상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