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artup Issue & Trend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의 다양한 트렌드와 이슈를 제공합니다.
  • K-컬쳐 든든히 떠받치는 문화예술 스타트업 도전기

  • 최초작성일  2022-12-30 최종수정일  2022-12-30 조회수 3,728
K-STARTUP
K-컬쳐 든든히 떠받치는
문화예술
스타트업 도전기
하단 중소벤처기업부 StP 창업진흥원 KOREA START UP
Culture Art NTF AI NFT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위기를 맞았던 문화예술 생태계가 메타버스, 블록체인, 대체불가능토큰(NFT), 인공지능(AI) 등 비대면 서비스를 구현하는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산업’이 본격적인 개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트렌드를 선도하는 스타트업에겐 기회가 되고 있다.
국내 미술시장 규모 추이(단위/원)
2018년: 4198억 2019년: 3812억 2020년: 3291억 2021년: 9223억 자료=예술경영지원센터
2020년 약 3,291억 원 규모였던 국내 미술시장이 2021년에는 3배 가까운 약 9,223억 원에 이르렀으며, 올해엔 1조원 벽도 넘어설 전망이다. 
미술품 시장의 대중화 배경엔 공동 투자 플랫폼이 있다. 이른바 ‘아트 테크(아트+재테크)’ 스타트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운영하는 한국 미술시장 정보시스템(K-Artmarket)에 따르면, 주요 미술품 공동 구매 플랫폼인 ▲아트앤가이드 ▲아트투게더 ▲테사 ▲소투 등의 누적 공동구매 금액이 지난 4월까지 3년 간 963억 원에 달했다. (출처: ‘미술품 조각투자’ 3년간 1천억원 육박’ 연합뉴스 2022. 5. 8)
TESSA TESSA YEOLMAE COMPANY 축처=열매컴퍼니(왼쪽)·테사 홈페이지(오른쪽)
‘아트앤가이드’를 운영하는 열매컴퍼니는 올해초 170억 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최근 40억 원의 추가 자금 조달 성과를 내며 기업가치를 높였다. 
테사 또한 최근 전략적 투자 유치로 121억 원의 누적 투자 실적을 달성하는 등 조각투자 플랫폼의 성장성에 대한 시장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조각투자 가이드라인을 발표, 투자자 보호 강화에 나서면서 업계는 본격적인 제도권 진입 절차를 밟고 있다.
조각투자 플랫폼의 대중화 이면엔 거래 신뢰를 높이는 디지털 기술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작품의 소유권 현황과 거래 이력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조각투자를 통한 공동 소유가 가능해지면서 자금이 충분치 않은 개인들도 유력한 작가들의 ‘블루칩’ 작품 투자에 참여할 수 있게 된 점 또한 투자의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엌ㅋㅋ 고장났네ㅋㅋㅋ 출처=널위한문화예술 공식 유튜브
널 위한 문화예술
예술작품 이해의 문턱을 낮추는 콘텐트 제공 스타트업도 부쩍 각광받고 있다.   
널위한문화예술은 예술 작품을 쉽게 풀어내는 콘텐트로 젊은 MZ세대 이용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8년 백남준 작가의 미디어아트 ‘다다익선’이 작품 노후화에 따른 화재 위험 논란에 휩싸였을 때 관련 영상으로 젊은 세대의 입소문을 탔다. 
‘놓치면 후회할 전시’, ‘인생 전시’ 등 영상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예술품 앞에서 과묵함을 벗고 당당한 ‘예잘알(예술품을 잘 아는 사람)’로 등극하게 된다!
99TICKET CALENDER 12|2022
헬가 스텐첼 사진전: 티켓매진 WATSON 알버튼 왓슨 사진전: 01. 05 티켓 오픈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What;s Next Exhibition?
Tickets 헬가 스탠첼 사진전 SOLD OUT
알버트 왓슨 사진전 01.05
프라다 칼로 사진전 01.07
미키 마우스 : Now and Future 01.12
널위한문화예술이 선보인 전시티켓 판매 서비스 ‘널위한99티켓’은 ‘레트로’ 감성을 담아낸 홈페이지 구성과 2030세대의 감성에 맞춰 인스타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등 차별화한 홍보전략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서비스 개시 이래 반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MAU) 3만 명을 달성하는 등 두드러진 성장세를 구가했다. 지난 8월 10억 원 규모의 프리A 투자 유치에도 성공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MBC 금토드라마 닥터 로이어 DOCTOR LAWYER In Crisis
2022.06.03 (금) 밤 9시 50분 첫 방송
출처=닥터로이어 포스터
POZA labs
예술 창작에 있어 AI를 활용하는 기술 스타트업의 등장에도 눈길이 간다. 
올해 상반기 화제의 드라마였던 ‘닥터로이어’. 마지막회 배경곡으로 쓰인 ‘인 크라이시스(In Crisis)’ 작곡은 AI 몫이었다. 
절정에 이르는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평이 나왔는데, 이를 진행한 건 AI 음원 창작 스타트업인 포자랩스다.
음악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출처=포자랩스 홈페이지
POZA labs
포자랩스는 본격적 영상 시대를 맞아 음원 수요는 폭증하고 있으나 실제 작곡 시장의 공급량은 한정돼 있어 시장 기회가 있다고 판단했다.
AI가 힙합과 재즈, 명상음악 등 각 장르별로 정형화한 규칙을 분석하여 3~10분내에 곡 하나를 만들어내는 수준이다. 
지난 9월 세계적 권위의 AI 학회인 뉴립스(NeurIPS)에 논문 등재 성과를 내며 기술력을 공인받았다.    
나아가 지난달 CJ ENM이 2대 주주가 되는 시리즈A 투자 유치 성과를 공개하며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JUICE Be Fresh! JUICE A CUP OF FRESH MUSIC
JUICE 신선한 음악 한 잔
Sqeeze out that creative JUICE
FRESH MUSIC
출처=주스 홈페이지
JUICE
음악 교육 부문에 특화한 스타트업 주스도 있다. 
2016년 설립한 주스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AI 기반의 음악교육 서비스 ‘안녕 도도’를 시장에 내놓았다. 음원 분석에서부터 창작에 이르기까지 기술력 확보를 바탕으로 캐나다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올해 하반기 KT 계열사인 지니뮤직으로부터 51억 원에 이르는 지분 투자도 받았다.
새로운 나만의 힐링 방법 EAR:GA ARTRA COMPANY
JENNIEFFECT MAKE THE NEW TRADITION 출처=잰이펙트(왼쪽)·아트라컴퍼니(오른쪽) 홈페이지
전통 예술의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새로운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스타트업 잰이펙트는 전통 가야금을 휴대하기 용이한 크기와 무게로 소형화해 내놓았다.  
전통무용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기술에 접목시켜서 비대면 코칭 솔루션을 만든 기업도 있다.
아트라컴퍼니는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소리마을 따꿍이’ 등 다양한 콘텐츠를 내놓고 있다.
매진되는 공연도 내자리는 있다!!
지난공연 History
마리앙투아네트 AIDA 아이다 HEDWIG 헤드윅 GREACE 그리스 DRAC
출처=아이겟 홈페이지
entcrowd
공연 스타트업 엔터크라우드는 17만 사용자를 보유한 공연 큐레이션 앱 ‘아이겟’ 운영사다.
“매진되는 공연에도 내 자리는 있다” 아이겟은 단골 고객들에게 등급을 부여하여 할인과 티켓 우선 구매 등 특전을 제공한다. 
지난 5월 12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데이터 기반 공연 제작 펀드 조성 등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내 손안에 덕메이트 blip
출처=스페이스오디티 홈페이지
space oddity
스페이스오디티는 케이팝(K-Pop) 가수 일정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 '블립(blip)'과 다양한 팬 활동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케이팝 레이더’를 운영한다.
2020년 출시한 ‘블립’은 팬들이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정보들만 자동으로 선별하여 보여주는 서비스로, 출시 이래 100만회의 내려받기 실적을 냈다.  
최근 4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등 총 누적 투자 66억 원을 확보했다.
Distribution 아티스트와 레이블을 위한 최고의 글로벌 음악 유통 서비스
출처=사운드리퍼블리카 홈페이지
SOUND REPUBLICA
사운드리퍼블리카는 IT기술을 활용한 음원 유통 선진화, 세계화를 선도하고 있다. 유통의 장벽을 깨 접하기 어려웠던 각국의 인디음악까지 아우르는 유통 기반을 마련했다. 
애플뮤직과 스포티파이 등 전세계 200여 개 음원 사이트에 음원을 공급, 유통한다. 소비자 선호, 취향을 신속히 파악하여 음원 판매 활동에 활용하는 ‘뮤직파이’ 서비스, 저작권 투자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비틀즈, 핑크플로이드가 사용했던 영국 애비 로드 스튜디오의 공식 한국파트너사이기도 하다.
SEORO
정부는 문화예술 부문 스타트업의 자생력을 높이는 창업 지원에 다각도로 공을 들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인 '서로(SEORO)'는 시작과 세움, 성장 각 창업 단계별로 10개사씩 지원액을 차등화하여 실효성을 높였다.  
이외에도 문체부 등 주관 하에 관광벤처, 예술기업 공모전과 창업 지원 등 분야별 지원사업이 있어 해당 분야별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지금 우리 학교는 SQUID GAME
출처=넷플리스 '지금우리학교는'·'오징어게임',블랙핑크(YG엔터테이먼트),BTS(하이브)
콘텐츠를 포함하여 문화예술 부문 창업은 전통적으로 영세한 사업자 형태와 시장 규모 등으로 쉽지 않은 분야로 꼽혀왔다. 
하지만 나날이 전세계적인 호응과 인기를 얻고 있는 K-컬쳐 영향력 확대와 더불어 산업적인 활용과 성장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역량 있는 문화예술 분야 스타트업들이 배출됨으로써 전세계적인 한류 확대의 든든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소벤처기업부 StP 창업진흥원 KOREA START UP
K-STARTUP
K-컬쳐 든든히 떠받치는
문화예술
스타트업 도전기
하단 중소벤처기업부 StP 창업진흥원 KOREA START UP
Culture Art NTF AI NFT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위기를 맞았던 문화예술 생태계가 메타버스, 블록체인, 대체불가능토큰(NFT), 인공지능(AI) 등 비대면 서비스를 구현하는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 산업’이 본격적인 개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트렌드를 선도하는 스타트업에겐 기회가 되고 있다.
국내 미술시장 규모 추이(단위/원)
2018년: 4198억 2019년: 3812억 2020년: 3291억 2021년: 9223억 자료=예술경영지원센터
2020년 약 3,291억 원 규모였던 국내 미술시장이 2021년에는 3배 가까운 약 9,223억 원에 이르렀으며, 올해엔 1조원 벽도 넘어설 전망이다. 
미술품 시장의 대중화 배경엔 공동 투자 플랫폼이 있다. 이른바 ‘아트 테크(아트+재테크)’ 스타트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운영하는 한국 미술시장 정보시스템(K-Artmarket)에 따르면, 주요 미술품 공동 구매 플랫폼인 ▲아트앤가이드 ▲아트투게더 ▲테사 ▲소투 등의 누적 공동구매 금액이 지난 4월까지 3년 간 963억 원에 달했다. (출처: ‘미술품 조각투자’ 3년간 1천억원 육박’ 연합뉴스 2022. 5. 8)
TESSA TESSA YEOLMAE COMPANY 축처=열매컴퍼니(왼쪽)·테사 홈페이지(오른쪽)
‘아트앤가이드’를 운영하는 열매컴퍼니는 올해초 170억 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최근 40억 원의 추가 자금 조달 성과를 내며 기업가치를 높였다. 
테사 또한 최근 전략적 투자 유치로 121억 원의 누적 투자 실적을 달성하는 등 조각투자 플랫폼의 성장성에 대한 시장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조각투자 가이드라인을 발표, 투자자 보호 강화에 나서면서 업계는 본격적인 제도권 진입 절차를 밟고 있다.
조각투자 플랫폼의 대중화 이면엔 거래 신뢰를 높이는 디지털 기술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작품의 소유권 현황과 거래 이력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조각투자를 통한 공동 소유가 가능해지면서 자금이 충분치 않은 개인들도 유력한 작가들의 ‘블루칩’ 작품 투자에 참여할 수 있게 된 점 또한 투자의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엌ㅋㅋ 고장났네ㅋㅋㅋ 출처=널위한문화예술 공식 유튜브
널 위한 문화예술
예술작품 이해의 문턱을 낮추는 콘텐트 제공 스타트업도 부쩍 각광받고 있다.   
널위한문화예술은 예술 작품을 쉽게 풀어내는 콘텐트로 젊은 MZ세대 이용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8년 백남준 작가의 미디어아트 ‘다다익선’이 작품 노후화에 따른 화재 위험 논란에 휩싸였을 때 관련 영상으로 젊은 세대의 입소문을 탔다. 
‘놓치면 후회할 전시’, ‘인생 전시’ 등 영상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예술품 앞에서 과묵함을 벗고 당당한 ‘예잘알(예술품을 잘 아는 사람)’로 등극하게 된다!
99TICKET CALENDER 12|2022
헬가 스텐첼 사진전: 티켓매진 WATSON 알버튼 왓슨 사진전: 01. 05 티켓 오픈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 99 TICKET FOR YOU
What;s Next Exhibition?
Tickets 헬가 스탠첼 사진전 SOLD OUT
알버트 왓슨 사진전 01.05
프라다 칼로 사진전 01.07
미키 마우스 : Now and Future 01.12
널위한문화예술이 선보인 전시티켓 판매 서비스 ‘널위한99티켓’은 ‘레트로’ 감성을 담아낸 홈페이지 구성과 2030세대의 감성에 맞춰 인스타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등 차별화한 홍보전략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서비스 개시 이래 반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MAU) 3만 명을 달성하는 등 두드러진 성장세를 구가했다. 지난 8월 10억 원 규모의 프리A 투자 유치에도 성공하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MBC 금토드라마 닥터 로이어 DOCTOR LAWYER In Crisis
2022.06.03 (금) 밤 9시 50분 첫 방송
출처=닥터로이어 포스터
POZA labs
예술 창작에 있어 AI를 활용하는 기술 스타트업의 등장에도 눈길이 간다. 
올해 상반기 화제의 드라마였던 ‘닥터로이어’. 마지막회 배경곡으로 쓰인 ‘인 크라이시스(In Crisis)’ 작곡은 AI 몫이었다. 
절정에 이르는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평이 나왔는데, 이를 진행한 건 AI 음원 창작 스타트업인 포자랩스다.
음악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출처=포자랩스 홈페이지
POZA labs
포자랩스는 본격적 영상 시대를 맞아 음원 수요는 폭증하고 있으나 실제 작곡 시장의 공급량은 한정돼 있어 시장 기회가 있다고 판단했다.
AI가 힙합과 재즈, 명상음악 등 각 장르별로 정형화한 규칙을 분석하여 3~10분내에 곡 하나를 만들어내는 수준이다. 
지난 9월 세계적 권위의 AI 학회인 뉴립스(NeurIPS)에 논문 등재 성과를 내며 기술력을 공인받았다.    
나아가 지난달 CJ ENM이 2대 주주가 되는 시리즈A 투자 유치 성과를 공개하며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JUICE Be Fresh! JUICE A CUP OF FRESH MUSIC
JUICE 신선한 음악 한 잔
Sqeeze out that creative JUICE
FRESH MUSIC
출처=주스 홈페이지
JUICE
음악 교육 부문에 특화한 스타트업 주스도 있다. 
2016년 설립한 주스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AI 기반의 음악교육 서비스 ‘안녕 도도’를 시장에 내놓았다. 음원 분석에서부터 창작에 이르기까지 기술력 확보를 바탕으로 캐나다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올해 하반기 KT 계열사인 지니뮤직으로부터 51억 원에 이르는 지분 투자도 받았다.
새로운 나만의 힐링 방법 EAR:GA ARTRA COMPANY
JENNIEFFECT MAKE THE NEW TRADITION 출처=잰이펙트(왼쪽)·아트라컴퍼니(오른쪽) 홈페이지
전통 예술의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새로운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스타트업 잰이펙트는 전통 가야금을 휴대하기 용이한 크기와 무게로 소형화해 내놓았다.  
전통무용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기술에 접목시켜서 비대면 코칭 솔루션을 만든 기업도 있다.
아트라컴퍼니는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한 ‘소리마을 따꿍이’ 등 다양한 콘텐츠를 내놓고 있다.
매진되는 공연도 내자리는 있다!!
지난공연 History
마리앙투아네트 AIDA 아이다 HEDWIG 헤드윅 GREACE 그리스 DRAC
출처=아이겟 홈페이지
entcrowd
공연 스타트업 엔터크라우드는 17만 사용자를 보유한 공연 큐레이션 앱 ‘아이겟’ 운영사다.
“매진되는 공연에도 내 자리는 있다” 아이겟은 단골 고객들에게 등급을 부여하여 할인과 티켓 우선 구매 등 특전을 제공한다. 
지난 5월 12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데이터 기반 공연 제작 펀드 조성 등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내 손안에 덕메이트 blip
출처=스페이스오디티 홈페이지
space oddity
스페이스오디티는 케이팝(K-Pop) 가수 일정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 '블립(blip)'과 다양한 팬 활동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케이팝 레이더’를 운영한다.
2020년 출시한 ‘블립’은 팬들이 본인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정보들만 자동으로 선별하여 보여주는 서비스로, 출시 이래 100만회의 내려받기 실적을 냈다.  
최근 4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등 총 누적 투자 66억 원을 확보했다.
Distribution 아티스트와 레이블을 위한 최고의 글로벌 음악 유통 서비스
출처=사운드리퍼블리카 홈페이지
SOUND REPUBLICA
사운드리퍼블리카는 IT기술을 활용한 음원 유통 선진화, 세계화를 선도하고 있다. 유통의 장벽을 깨 접하기 어려웠던 각국의 인디음악까지 아우르는 유통 기반을 마련했다. 
애플뮤직과 스포티파이 등 전세계 200여 개 음원 사이트에 음원을 공급, 유통한다. 소비자 선호, 취향을 신속히 파악하여 음원 판매 활동에 활용하는 ‘뮤직파이’ 서비스, 저작권 투자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비틀즈, 핑크플로이드가 사용했던 영국 애비 로드 스튜디오의 공식 한국파트너사이기도 하다.
SEORO
정부는 문화예술 부문 스타트업의 자생력을 높이는 창업 지원에 다각도로 공을 들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인 '서로(SEORO)'는 시작과 세움, 성장 각 창업 단계별로 10개사씩 지원액을 차등화하여 실효성을 높였다.  
이외에도 문체부 등 주관 하에 관광벤처, 예술기업 공모전과 창업 지원 등 분야별 지원사업이 있어 해당 분야별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지금 우리 학교는 SQUID GAME
출처=넷플리스 '지금우리학교는'·'오징어게임',블랙핑크(YG엔터테이먼트),BTS(하이브)
콘텐츠를 포함하여 문화예술 부문 창업은 전통적으로 영세한 사업자 형태와 시장 규모 등으로 쉽지 않은 분야로 꼽혀왔다. 
하지만 나날이 전세계적인 호응과 인기를 얻고 있는 K-컬쳐 영향력 확대와 더불어 산업적인 활용과 성장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역량 있는 문화예술 분야 스타트업들이 배출됨으로써 전세계적인 한류 확대의 든든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소벤처기업부 StP 창업진흥원 KOREA START UP

전세계적으로 K-컬쳐,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하는 문화예술 산업 및 스타트업 동향을 살펴본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