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artup Issue & Trend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의 다양한 트렌드와 이슈를 제공합니다.
  • 데이터로 말하는 스포츠테크: 스포츠 경험을 재창조하다

  • 최초작성일  2024-05-31 최종수정일  2025-01-31 조회수 1,718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K-STARTUP
데이터로 말하는 스포츠테크
스포츠 경험을 재창조하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①
Today 10.6km, 12km, Daily Goal, Best Gaol 42.8km, Avg Heart Bit 141.2, Best Gal 66:42 min
스포츠테크는 전통 스포츠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산업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선수의 생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팬들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스포츠 비즈니스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스포츠테크 산업의 동향과 주요 기술을 살펴보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②
[스포츠테크 산업 동향]
1. 성능 분석 도구 활용: 심박수, 속도 등 선수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훈련 및 회복 과정을 관리한다.
2. 훈련 및 경기 분석: 비디오 분석과 모션 캡처 기술 등을 통해 선수의 움직임과 기술을 정밀하게 분석한다.
3. 지속 가능한 운영: 에너지 절약, 자원 재활용 등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지속 가능한 스포츠 운영 방안을 도입한다.
4.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 팬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하고, 개인별 맞춤형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③
[스포츠테크 주요 기술]
1. 인공지능: 선수들의 성능 분석, 부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 개발, 경기 전략 수립 등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다.
2. 웨어러블: 생체 정보를 기록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선수의 건강을 관리하고 최적의 훈련 상태를 유지한다.
3. 가상현실&증강현실: 선수는 실제 경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고, 관객은 경기 관람 시 더 높은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4.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한 보안 강화, 냉·난방 시스템 자동 조절 등 최적의 관람이 가능한 스마트 스타디움을 구현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④
코로나19는 스포츠테크 산업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팬데믹 동안 경기가 취소되면서 큰 타격을 받았으나 이로 인해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경기나 훈련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고, VR 기술을 통해 경기 시청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는 등 기술 혁신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된 것이다. 스포츠테크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글로벌 스포츠테크의 시장 규모는 2022년 159억 달러에서 연평균 18%씩 성장해 2032년 792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마켓US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⑤
글로벌 스포츠테크 산업 성장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스포츠테크 스타트업들이 AI 기반의 선수 관리 시스템, 개인 맞춤형 코칭 앱, 인공지능 운동 파트너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스포츠 산업의 밝은 미래를 모색하며 국내외로 주목받고 있는 스포츠테크 스타트업들을 소개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①
<큐엠아이티 스마트한 IT 코치> 플코 앱(이미지 출처:큐엠아이티)
K리그 프로축구 선수 출신 이상기 대표가 설립한 큐엠아이티는 스포츠 선수 관리 시스템 ‘플코’를 개발하여 운영 중이다. 플코는 선수들의 피로도, 스트레스 지수, 수면 시간, 운동 강도 등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는 물론 부상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경기 중 부상을 예방한다. 현재 프로축구연맹, 광주FC, 경남FC, 부천FC 등 주요 축구 구단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배구, 농구, 럭비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으로 활용 범위를 확장 중이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②
SSTC <SSTC 맞춤형 솔루션 제공>
SSTC는 3D 바이오메커닉스 기술을 활용해 선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맞춤형 트레이닝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선수의 몸과 관절에 40여 개의 3D 마커를 부착하고, 18개의 초고속 카메라로 동작을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칭 폼, 배팅 폼, 구속 향상 등 맞춤형 트레이닝 방법을 처방한다. 뿐만 아니라 재활 트레이닝, 피지컬 트레이닝, 컨디셔닝 등도 함께 제공한다. SSTC는 LG 트윈스, KT 위즈, NC 다이노스 등 국내 프로야구구단과 공식 트레이닝 협력 파트너로 활동 중이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③
iVOLVE, Standard
<큐링이노스 테니스 운동 파트너>  아이볼브 트레이너(이미지 출처:큐링이노스)
큐링이노스는 인공지능 테니스 로봇인 ‘아이볼브 트레이너’를 개발하여 주목받았다. 아이볼브 트레이너는 시속 18km로 움직이며 사용자 수준에 맞춰 공을 발사하는 1인 테니스 훈련 로봇이다. 플랫, 탑스핀, 슬라이스 등 고난도의 볼을 배급하고,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분석해 적합한 훈련 프로그램까지 제공한다. 테니스 초보자부터 상급자까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CES 2023'에서 피트니스와 스포츠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④
<Galloping 갤로핑 AI 축구 트레이닝 서비스>
갤로핑은 IT 기반의 온오프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AI 축구 트레이닝 서비스 ‘아웃풋’을 개발·운영한다. 아웃풋은 스마트 트레이닝존, 축구 비전 AI 처리 기술, 훈련 데이터 관리 스마트앱을 통해 선수들의 훈련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10여 년간 1만 경기 이상의 경기를 분석한 자체 훈련 매뉴얼 'MG10S'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도 개발했다. 갤로핑은 축구 전문 훈련 트레이닝 플랫폼을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축구인들에게 새로운 훈련 문화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⑤
<MOAIs 모아이스 AI 골프 코치>
스포츠 에듀테크 기업 모아이스는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골프를 배울 수 있는 ‘골프픽스’를 개발했다. 골프픽스는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골프 코칭 서비스 앱이다. AI 스윙 진단을 통해 사용자의 골프 스윙 동작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한다. 몸동작뿐만 아니라 손목의 꺾임, 클럽 샤프트의 휘는 각도까지 인식하여 더욱 정확한 코칭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했던 기존 오프라인 골프 레슨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율적으로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⑥
<라이덕 사이클 데이터 분석>
라이덕은 사이클 훈련 데이터를 AI로 분석 및 예측하여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별도의 장비 없이 평소의 훈련 데이터만으로 FTP(Functional Threshold Power), FatMax(최대 지방 연소 운동 강도), VO2Max(최대 산소 섭취량) 등 사이클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사이클 실력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라이덕은 지난 3월 C랩 아웃사이드*에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러닝, 수영 등 다양한 유산소 운동으로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C랩 아웃사이드: 삼성전자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비프로컴퍼니 축구 분석 프로그램> (이미지 출처:비프로11 블로그)
비프로컴퍼니는 자체 개발한 카메라로 축구 경기를 촬영하고, 선수들의 모든 움직임을 데이터화한다. AI 기술로 경기 영상과 데이터를 분석해 선수의 속도, 슈팅 횟수, 이동 거리, 크로스 궤적 등의 정보를 도출하여 각 팀과 선수에게 맞춤형 리포트를 제공한다. 이는 선수의 성장 성과와 시즌별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한다. 이탈리아의 AC밀란, 스코틀랜드의 셀틱 등 20개국 이상에서 2,000개 이상의 팀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매년 피파(FIFA)로부터 서비스 품질을 인증받아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증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①
스포츠테크 산업은 최근 몇 년간 눈부신 성장을 보이며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을 이끌어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경기력 향상, 데이터 분석, 훈련 및 재활 프로그램 개선 등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포츠테크 산업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이에 더 나아가 스포츠테크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을 살펴보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②
[스포츠테크 주요 과제]
1. 기술 표준화 부족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혼재되어 있어 기술 표준화가 부족하다.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다양한 기술 간 호환성을 높여야 한다. 
2. 높은 초기 비용
스포츠테크 솔루션의 도입에는 높은 초기 비용이 발생한다. 정부와 민간의 지원을 통해 초기 비용 부담을 완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3. 기술 수용성
전통적인 스포츠 업계에서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저항이 존재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기술을 도입하여 부담을 줄이고,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③
이처럼 스포츠테크 산업은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는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분야다. 기술의 표준화, 비용 절감 방안 마련, 기술 수용성 향상 등의 과제를 해결한다면 스포츠테크 산업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포츠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는 스포츠테크 산업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해본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K-STARTUP
데이터로 말하는 스포츠테크
스포츠 경험을 재창조하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①
Today 10.6km, 12km, Daily Goal, Best Gaol 42.8km, Avg Heart Bit 141.2, Best Gal 66:42 min
스포츠테크는 전통 스포츠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산업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선수의 생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팬들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스포츠 비즈니스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스포츠테크 산업의 동향과 주요 기술을 살펴보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②
[스포츠테크 산업 동향]
1. 성능 분석 도구 활용: 심박수, 속도 등 선수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훈련 및 회복 과정을 관리한다.
2. 훈련 및 경기 분석: 비디오 분석과 모션 캡처 기술 등을 통해 선수의 움직임과 기술을 정밀하게 분석한다.
3. 지속 가능한 운영: 에너지 절약, 자원 재활용 등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지속 가능한 스포츠 운영 방안을 도입한다.
4.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 팬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하고, 개인별 맞춤형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③
[스포츠테크 주요 기술]
1. 인공지능: 선수들의 성능 분석, 부상 예방, 훈련 프로그램 개발, 경기 전략 수립 등에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다.
2. 웨어러블: 생체 정보를 기록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선수의 건강을 관리하고 최적의 훈련 상태를 유지한다.
3. 가상현실&증강현실: 선수는 실제 경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고, 관객은 경기 관람 시 더 높은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4.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한 보안 강화, 냉·난방 시스템 자동 조절 등 최적의 관람이 가능한 스마트 스타디움을 구현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④
코로나19는 스포츠테크 산업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팬데믹 동안 경기가 취소되면서 큰 타격을 받았으나 이로 인해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경기나 훈련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고, VR 기술을 통해 경기 시청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는 등 기술 혁신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된 것이다. 스포츠테크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글로벌 스포츠테크의 시장 규모는 2022년 159억 달러에서 연평균 18%씩 성장해 2032년 792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마켓US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즈테크 산업 동향 및 주요 기술 ⑤
글로벌 스포츠테크 산업 성장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스포츠테크 스타트업들이 AI 기반의 선수 관리 시스템, 개인 맞춤형 코칭 앱, 인공지능 운동 파트너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스포츠 산업의 밝은 미래를 모색하며 국내외로 주목받고 있는 스포츠테크 스타트업들을 소개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①
<큐엠아이티 스마트한 IT 코치> 플코 앱(이미지 출처:큐엠아이티)
K리그 프로축구 선수 출신 이상기 대표가 설립한 큐엠아이티는 스포츠 선수 관리 시스템 ‘플코’를 개발하여 운영 중이다. 플코는 선수들의 피로도, 스트레스 지수, 수면 시간, 운동 강도 등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는 물론 부상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경기 중 부상을 예방한다. 현재 프로축구연맹, 광주FC, 경남FC, 부천FC 등 주요 축구 구단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배구, 농구, 럭비 등 다양한 스포츠 종목으로 활용 범위를 확장 중이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②
SSTC <SSTC 맞춤형 솔루션 제공>
SSTC는 3D 바이오메커닉스 기술을 활용해 선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맞춤형 트레이닝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선수의 몸과 관절에 40여 개의 3D 마커를 부착하고, 18개의 초고속 카메라로 동작을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칭 폼, 배팅 폼, 구속 향상 등 맞춤형 트레이닝 방법을 처방한다. 뿐만 아니라 재활 트레이닝, 피지컬 트레이닝, 컨디셔닝 등도 함께 제공한다. SSTC는 LG 트윈스, KT 위즈, NC 다이노스 등 국내 프로야구구단과 공식 트레이닝 협력 파트너로 활동 중이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③
iVOLVE, Standard
<큐링이노스 테니스 운동 파트너>  아이볼브 트레이너(이미지 출처:큐링이노스)
큐링이노스는 인공지능 테니스 로봇인 ‘아이볼브 트레이너’를 개발하여 주목받았다. 아이볼브 트레이너는 시속 18km로 움직이며 사용자 수준에 맞춰 공을 발사하는 1인 테니스 훈련 로봇이다. 플랫, 탑스핀, 슬라이스 등 고난도의 볼을 배급하고, 사용자의 운동 패턴을 분석해 적합한 훈련 프로그램까지 제공한다. 테니스 초보자부터 상급자까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CES 2023'에서 피트니스와 스포츠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④
<Galloping 갤로핑 AI 축구 트레이닝 서비스>
갤로핑은 IT 기반의 온오프라인 플랫폼 기업으로 AI 축구 트레이닝 서비스 ‘아웃풋’을 개발·운영한다. 아웃풋은 스마트 트레이닝존, 축구 비전 AI 처리 기술, 훈련 데이터 관리 스마트앱을 통해 선수들의 훈련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10여 년간 1만 경기 이상의 경기를 분석한 자체 훈련 매뉴얼 'MG10S'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프로그램도 개발했다. 갤로핑은 축구 전문 훈련 트레이닝 플랫폼을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축구인들에게 새로운 훈련 문화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⑤
<MOAIs 모아이스 AI 골프 코치>
스포츠 에듀테크 기업 모아이스는 초보자도 쉽고 편하게 골프를 배울 수 있는 ‘골프픽스’를 개발했다. 골프픽스는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골프 코칭 서비스 앱이다. AI 스윙 진단을 통해 사용자의 골프 스윙 동작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한다. 몸동작뿐만 아니라 손목의 꺾임, 클럽 샤프트의 휘는 각도까지 인식하여 더욱 정확한 코칭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했던 기존 오프라인 골프 레슨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율적으로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⑥
<라이덕 사이클 데이터 분석>
라이덕은 사이클 훈련 데이터를 AI로 분석 및 예측하여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별도의 장비 없이 평소의 훈련 데이터만으로 FTP(Functional Threshold Power), FatMax(최대 지방 연소 운동 강도), VO2Max(최대 산소 섭취량) 등 사이클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사이클 실력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라이덕은 지난 3월 C랩 아웃사이드*에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러닝, 수영 등 다양한 유산소 운동으로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C랩 아웃사이드: 삼성전자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스타트업 사례 
<비프로컴퍼니 축구 분석 프로그램> (이미지 출처:비프로11 블로그)
비프로컴퍼니는 자체 개발한 카메라로 축구 경기를 촬영하고, 선수들의 모든 움직임을 데이터화한다. AI 기술로 경기 영상과 데이터를 분석해 선수의 속도, 슈팅 횟수, 이동 거리, 크로스 궤적 등의 정보를 도출하여 각 팀과 선수에게 맞춤형 리포트를 제공한다. 이는 선수의 성장 성과와 시즌별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한다. 이탈리아의 AC밀란, 스코틀랜드의 셀틱 등 20개국 이상에서 2,000개 이상의 팀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매년 피파(FIFA)로부터 서비스 품질을 인증받아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증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①
스포츠테크 산업은 최근 몇 년간 눈부신 성장을 보이며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을 이끌어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경기력 향상, 데이터 분석, 훈련 및 재활 프로그램 개선 등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포츠테크 산업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이에 더 나아가 스포츠테크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을 살펴보자.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②
[스포츠테크 주요 과제]
1. 기술 표준화 부족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혼재되어 있어 기술 표준화가 부족하다.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다양한 기술 간 호환성을 높여야 한다. 
2. 높은 초기 비용
스포츠테크 솔루션의 도입에는 높은 초기 비용이 발생한다. 정부와 민간의 지원을 통해 초기 비용 부담을 완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3. 기술 수용성
전통적인 스포츠 업계에서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저항이 존재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기술을 도입하여 부담을 줄이고,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
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ㆍSPORTS TECH
스포츠테크 과제와 전망 ③
이처럼 스포츠테크 산업은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는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분야다. 기술의 표준화, 비용 절감 방안 마련, 기술 수용성 향상 등의 과제를 해결한다면 스포츠테크 산업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포츠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는 스포츠테크 산업에 대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해본다.



K STARTUP

Issue & Trend


데이터로 말하는 스포츠테크

스포츠 경험을 재창조하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