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Startup Issue & Trend

국내외 스타트업 생태계의 다양한 트렌드와 이슈를 제공합니다.
  • MWC서도 각광받는 K-스타트업의 도전

  • 2023-03-23 조회수 1,482
K STARTUP
MWC™
Barcelona
MWCE
각광받는
K-스타트업의 도전
MWC™
CSMA
출처=MWC 페이스북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출처=MWC 페이스북
CSMA
MWC™
Barcelona
세계 3대 전시회로 손꼽히는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전시회가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다.
올해 MWC에선 5G 가속화와 증강·가상현실, 오픈넷, 핀테크, 디지털화 등 5가지 테마가 줄기를 이뤘는데, 이를 관통하는 화두로는 단연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꼽힌다.
출처=MWC 페이스북
이번 MWC 행사에는 160개국에서 참가 기업만 2천여개사에 이르렀으며
관람객도 8만여명에 육박하여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내에선 삼성전자와 SK텔레콤, KT 등 대기업 5곳과 스타트업 65개사 등
총 130개사가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KICTA)
출처=스윗테크놀로지스 홈페이지
SWIT X SK
201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하며 글로벌 협업툴(Saas)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스윗테크놀로지스는 오픈 AI의 GPT-3.5 활용이 가능한 협업툴 기술을 선보여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스윗은 지난해 9월 SK브로드밴드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SK그룹과 협업 관계를 맺고 있다. MWC 행사를 처음 참관한 것으로 알려진 SK 최태원 회장도 스윗의 부스를 찾아 AI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왼쪽부터 팬텀AI 조형기 대표,사피온 류수정 대표,베스핀글로벌 이한주 대표,SKT 유영상 사장, 몰로코 안익진 대표,코난테크놀로지 양승현 CTO,스윗 이주환 대표, 투아트 조수원 대표.
출처=SK텔레콤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SK텔레콤과 협력하여 혁신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국내 중소기업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도록, MWC2023 전시관 내 4YFN*관에 SK텔레콤-스타트업 동반진출관을 지원했다.
이에 참여한 스타트업으로는 비전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사 이투온,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사 마블러스, 스마트폰 연결 안구검사 디바이스를 만든 랩에스디 등이다.
*4YFN(4Years From Now): 향후 4년 뒤 MWC 본 전시에 참가할 수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창업을 돕기 위한 박람회
출처=4YFN페이스북
한국무역협회가 지원한 '4YFN전시장'에도 강소 스타트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코스모스랩▲인포카▲레티널▲참깨연구소▲스페이스뱅크▲아고스비전▲젠트리 등 13개사가 참여했는데, 4년 뒤 MWC 정식 참여가 가능한 유망기업 발굴의 장이란 의미를 담았다.
출처=코스모스랩홈페이지
COSMOS LAB
코스모스랩은 불이 나지 않는 친환경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해질을 물로 대체하여, 공기 중에 노출되어도 화재 위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충전 속도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최대 10배 가량 높였다는 설명이다.
출처=인포카 홈페이지
INFOCAR
인포카는 2019년 차량진단 및 관리시스템인 '인포카'서비스를 출시했다.
특별한 기술 지식이 없는 운전자도 스마트 스캐너와 모바일 앱 설치만으로도
차량 상태 파악과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출처=레티널홈페이지
LetinAR
레티널은 메타버스 구축에 활용 가능한 광학 렌즈 기술을 보유했다.
아직은 절대 강자가 없는 비축광학(Off-axis Optics) 분야에서 독보적이라 할 '핀덜트'기술을 토대로, AR글라스 시장의 주요 공급원이 되겠다는 포부를 내비치고 있다.
출처=참깨연구소홈페이지
참깨연구소
참깨연구소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출입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
열쇠를 지참하지 않고도 출입과 보안 유지가 가능한 디지털 키 플랫폼 '키링(KEYRING)', 블루투스 기반의 시건장치 '데이브(DAVE)' 등 타사 솔루션과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등 제품군을 갖췄다.
출처=스페이스뱅크 홈페이지
space bank
디지털 전환(DX)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스페이스뱅크는 3D, 4D 레이더 기반의 스마트 관제 솔루션(AIOT Wright)을 선보였다.
환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험 상황 감지와 낙상 사고 예방 등에 활용 가능하다.
출처=아고스 비전 홈페이지
ARGOS VISION
SPATIAL VISION SOLUTIONS
아고스 비전은 로봇이나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광시야 3D 카메라 기술 '아고스뷰'를 선보였다.
수평 최대 240도, 수직 최대 160도의 시야를 제공해 사람 눈보다 넓은 시야를 갖췄다.
CES2023 혁신상 수상에 이어, MWC 출품 등을 바탕으로 아고스뷰 제품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처=젠트리 유튜브 동영상 캡쳐
zentry
젠트리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및 플랫폼 '두리틀'을 선보였다.
반려동물이 착용하는 밴드에 장착된 내장 센서가 심박수를 측정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하는 서비스다.
MWC 4YFN 2023 KOCCA 공동관 운영 현장.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한 한국 공동관에는 총 7개 콘텐츠 스타트업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축구인들의 네트워킹 플랫폼을 선보인 라인쓰리,
글로벌 여행 중계 서비스 'Towish'를 내놓은 메클라우즈,
촉감 전달 장갑을 출품한 풀다이브테크놀로지 등이
현지 투자상담 및 협력 제안을 받는 등 성과를 내며 주목받았다.
이상 MWC 2023 행사에 참여한 잠재성 높은 스타트업들의 면면과 활동 성과를 살펴 보았다.
팬데믹 충격을 거쳐 조정의 국면을 맞아 투자 심리가 얼어붙는 어려운 시기임에도,
혁신을 통한 신시장 개척과 돌파구 모색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기술력과 열정을 토대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스타트업들의 도전이 성과로 나타나 커다란 우리 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길 기대해 본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K STARTUP
MWC™
Barcelona
MWCE
각광받는
K-스타트업의 도전
MWC™
CSMA
출처=MWC 페이스북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출처=MWC 페이스북
CSMA
MWC™
Barcelona
세계 3대 전시회로 손꼽히는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전시회가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다.
올해 MWC에선 5G 가속화와 증강·가상현실, 오픈넷, 핀테크, 디지털화 등 5가지 테마가 줄기를 이뤘는데, 이를 관통하는 화두로는 단연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꼽힌다.
출처=MWC 페이스북
이번 MWC 행사에는 160개국에서 참가 기업만 2천여개사에 이르렀으며
관람객도 8만여명에 육박하여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내에선 삼성전자와 SK텔레콤, KT 등 대기업 5곳과 스타트업 65개사 등
총 130개사가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KICTA)
출처=스윗테크놀로지스 홈페이지
SWIT X SK
201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하며 글로벌 협업툴(Saas)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스윗테크놀로지스는 오픈 AI의 GPT-3.5 활용이 가능한 협업툴 기술을 선보여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스윗은 지난해 9월 SK브로드밴드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SK그룹과 협업 관계를 맺고 있다. MWC 행사를 처음 참관한 것으로 알려진 SK 최태원 회장도 스윗의 부스를 찾아 AI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왼쪽부터 팬텀AI 조형기 대표,사피온 류수정 대표,베스핀글로벌 이한주 대표,SKT 유영상 사장, 몰로코 안익진 대표,코난테크놀로지 양승현 CTO,스윗 이주환 대표, 투아트 조수원 대표.
출처=SK텔레콤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SK텔레콤과 협력하여 혁신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국내 중소기업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도록, MWC2023 전시관 내 4YFN*관에 SK텔레콤-스타트업 동반진출관을 지원했다.
이에 참여한 스타트업으로는 비전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사 이투온,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사 마블러스, 스마트폰 연결 안구검사 디바이스를 만든 랩에스디 등이다.
*4YFN(4Years From Now): 향후 4년 뒤 MWC 본 전시에 참가할 수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창업을 돕기 위한 박람회
출처=4YFN페이스북
한국무역협회가 지원한 '4YFN전시장'에도 강소 스타트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코스모스랩▲인포카▲레티널▲참깨연구소▲스페이스뱅크▲아고스비전▲젠트리 등 13개사가 참여했는데, 4년 뒤 MWC 정식 참여가 가능한 유망기업 발굴의 장이란 의미를 담았다.
출처=코스모스랩홈페이지
COSMOS LAB
코스모스랩은 불이 나지 않는 친환경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해질을 물로 대체하여, 공기 중에 노출되어도 화재 위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충전 속도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최대 10배 가량 높였다는 설명이다.
출처=인포카 홈페이지
INFOCAR
인포카는 2019년 차량진단 및 관리시스템인 '인포카'서비스를 출시했다.
특별한 기술 지식이 없는 운전자도 스마트 스캐너와 모바일 앱 설치만으로도
차량 상태 파악과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출처=레티널홈페이지
LetinAR
레티널은 메타버스 구축에 활용 가능한 광학 렌즈 기술을 보유했다.
아직은 절대 강자가 없는 비축광학(Off-axis Optics) 분야에서 독보적이라 할 '핀덜트'기술을 토대로, AR글라스 시장의 주요 공급원이 되겠다는 포부를 내비치고 있다.
출처=참깨연구소홈페이지
참깨연구소
참깨연구소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출입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
열쇠를 지참하지 않고도 출입과 보안 유지가 가능한 디지털 키 플랫폼 '키링(KEYRING)', 블루투스 기반의 시건장치 '데이브(DAVE)' 등 타사 솔루션과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등 제품군을 갖췄다.
출처=스페이스뱅크 홈페이지
space bank
디지털 전환(DX)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스페이스뱅크는 3D, 4D 레이더 기반의 스마트 관제 솔루션(AIOT Wright)을 선보였다.
환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험 상황 감지와 낙상 사고 예방 등에 활용 가능하다.
출처=아고스 비전 홈페이지
ARGOS VISION
SPATIAL VISION SOLUTIONS
아고스 비전은 로봇이나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광시야 3D 카메라 기술 '아고스뷰'를 선보였다.
수평 최대 240도, 수직 최대 160도의 시야를 제공해 사람 눈보다 넓은 시야를 갖췄다.
CES2023 혁신상 수상에 이어, MWC 출품 등을 바탕으로 아고스뷰 제품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처=젠트리 유튜브 동영상 캡쳐
zentry
젠트리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및 플랫폼 '두리틀'을 선보였다.
반려동물이 착용하는 밴드에 장착된 내장 센서가 심박수를 측정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하는 서비스다.
MWC 4YFN 2023 KOCCA 공동관 운영 현장.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한 한국 공동관에는 총 7개 콘텐츠 스타트업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축구인들의 네트워킹 플랫폼을 선보인 라인쓰리,
글로벌 여행 중계 서비스 'Towish'를 내놓은 메클라우즈,
촉감 전달 장갑을 출품한 풀다이브테크놀로지 등이
현지 투자상담 및 협력 제안을 받는 등 성과를 내며 주목받았다.
이상 MWC 2023 행사에 참여한 잠재성 높은 스타트업들의 면면과 활동 성과를 살펴 보았다.
팬데믹 충격을 거쳐 조정의 국면을 맞아 투자 심리가 얼어붙는 어려운 시기임에도,
혁신을 통한 신시장 개척과 돌파구 모색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기술력과 열정을 토대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스타트업들의 도전이 성과로 나타나 커다란 우리 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길 기대해 본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세계 3대 ICT 전시회로 꼽히는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전시회,

전 세계를 대상으로 혁신적인 기술력을 뽐낸 K-스타트업을 살펴본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