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집마감

예비 창업자와 창업기업을 위한 창업지원사업공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제조AI솔루션 공모전

  • 지원분야

    사업화

  • 대상연령

    전체

  • 기관구분

    공공기관

  • 담당부서

    스마트전문기업육성팀

  • 지역

    전국

  • 접수기간

    2025-10-01 ~ 2025-10-24 23:59

  • 주관기관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대상

    일반기업, 1인 창조기업

  • 창업업력

    전체

  • 연락처

    044-300-0972

2025년 제조AI솔루션 공모전

제조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AI 솔루션을 발굴하여
중소 제조기업의 AI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제조AI 솔루션 발굴 공모전을 개최하오니
혁신적인 스마트제조 공급기업 여러분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2025년 09월 29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신청방법 및 대상

  • 신청기간

    2025.10.01(수) 09:00 ~ 2025.10.24(금) 23:59 까지

  •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 : 접수 바로가기


  • 신청대상

    1. (스타트업 부문) 창업 7년 이내의 제조AI 솔루션 보유 기업
    2. (글로벌 도약 부문) 중소 중견기업 중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제조AI 솔루션 보유 기업

  • 제외대상

    사업공고의 부적격 사항에 해당하는 자

  •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포함)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 (필수) 참가신청서 1

    사업 공고문 <붙임 2>의 서식 참고

  • (선택) 참가신청서 2

    참가신청서 1에 기재한 AI 솔루션 외 추가로 신청할 AI 솔루션이 있는 경우 작성
    참가신청서는 최대 2개까지 제출 가능

  • (필수) 정보제공 활용 동의서

    사업 공고문 <붙임3>의 서식 참고

  • (필수) 제조AI 솔루션 소개서

    자유양식
    참가신청서 1, 2를 제출하는 경우 각각의 제조AI 솔루션 소개서를 압축하여 한개의 파일로 업로드

  • (선택) 제조AI 솔루션 활용 시연자료

    자유양식

  • (선택) 관련 인증, 특허, 지재권 증빙

    자유양식

  • (선택) IR 자료

    자유양식

  • (선택) 기타 홍보자료

    자유양식

  • 제출하신 서류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서류 반환 등 문의는 해당 기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선정절차 및 평가방법

  • 3단계 평가 진행

    1차 서면평가
    2차 대면평가
    3차 현장 발표평가(2025 comeup)

행사안내

  • 우수 제조AI 솔루션 발굴 공모

    1, 2차 평가 후 선발된 기업은 2025 comeup 행사에 제조AI 솔루션 발표 행사 예정(`25.12.10)

  • 상기 일정은 사업운영기관의 내부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시상, `26년 스마트제조혁신지원사업 제조AI 트랙 우대가점, 제조AI 솔루션 홍보영상 제작, 2025 comeup 부스 제공(단체관) 등

    우수한 제조AI 솔루션을 발굴하여 시상, 홍보하는 것 뿐만 아니라
    AI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해 `26년 스마트제조혁신지원사업 중 제조AI 트랙 참여 우대, AI도입을 희망하는 제조기업과 정기적인 밋업행사 등을 지원
    상세내용은 공고문 참조

문의처

  • (신청접수 평가) 이노비즈협회 031-628-9686, 9691

    상세내용은 공고문 참조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및 문의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K-Startup에 공고되는 정보는 해당 기관의 요청에 의해 제공됩니다. 입주, 교육, 사업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 포함)는 해당 기관에서 관리 되오니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