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 신규 입주기업 모집
-
지원분야
시설ㆍ공간ㆍ보육
-
대상연령
전체
-
기관구분
공공기관
-
담당부서
서부창업허브팀
-
지역
전국
-
접수기간
2025-11-20 ~ 2025-12-09 20:00
-
주관기관명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대상
청소년, 대학생, 일반인, 일반기업, 1인 창조기업
-
창업업력
예비창업자, 1년미만, 2년미만, 3년미만
-
연락처
031-830-8661
2025년 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 신규 입주기업 모집
경기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에서 는 예비창업자 ~ 3년 이내 기술창업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입주기업을 모집하오니, 혁신 기술과 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한 창업자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25년 11월 20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신청방법 및 대상
-
신청기간
2025.11.20(목) 12:00 ~ 2025.12.09(화) 20:00 까지
-
신청대상
[기술창업분야] 예비창업자 ~ 3년 이내 스타트업
-
제외대상
신청제외대상
∙ 창업기업 등의 자격이 맞지 않거나, 사업내용이 공고내용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 금융기관을 통한 계좌개설이 불가능하거나, 본인 명의의 금융자산에 대한 압류가 진행 중인 자(단, 시효 소멸자는 제외)
∙ 공고일 기준 현재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참여제한으로 제재중인 자
∙ 일반유흥주점업, 무도유흥주점업, 기타 주점업,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 기타 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등 -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포함)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이점 반드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
신청서 및 증빙서류
1. 입주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2. 평가 기준 및 결과 수락 확약서
3.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
4. 대표자 신분증 사본
5.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제공 동의서
6. 법위반 사실(부존재) 여부 확약서
7. 매출/투자/고용 증빙자료('22년~'24년) (해당시)
8. 사실증명원(사업자등록 이력 있는 경우 or 없는 경우 구분), 법인등기부등본 사본(법인기업 해당시)
9. 가점증빙자료 (해당시) -
제출하신 서류는 사업운영기관에서 관리되오니 서류 반환 등 문의는 해당 기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선정절차 및 평가방법
-
1차 서면평가, 2차 발표평가
∙ 외부전문가 5인 이내로 구성된 운영위원회 심사평가
∙ 1차 서면심사 통과 시 2차 발표심사 PT 제출
* 자유 PT양식의 경우 심사기준에 맞춰 작성 제출
입주모집개요
-
2025년 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 신규 입주기업 모집 공고
입주기업 모집공고 안내 : https://www.gsp.or.kr/supportProject/UVSD0001.do?sportSeq=6041
1. 입주공간 모집규모 : 1인석(15개사), 2~3인석(3개사) / 4인실(11개사), 5인실(5개사)
2. 소재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11, 연성대벤처센터 11층 ~ 14층
3. 공간구성 : 1인석(약1.5평), 2~3인석(약3평) / 4인실(약4.8평), 5인실(약7.2평)
4. 입주기간 : 2026.02.01. ~ 2027.01.31.(12개월)
5. 입주비용 : 1인석(무료), 2~3인석(무료) / 4인실(44,000원/월), 5인실(55,000원/월) -
상기 일정은 사업운영기관의 내부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지원내용
-
2025년 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 신규 입주기업 모집 공고
저렴한 월 관리비로 창업공간 제공
기업 간 간담회 등을 통한 네트워킹 진행
지원사업 관련 정보 제공 등
문의처
-
서부창업허브팀 창업혁신공간 남서부권(안양) 박형준대리
TEL : 031-830-8661
E-mail : finklday@gbsa.or.kr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및 문의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K-Startup에 공고되는 정보는 해당 기관의 요청에 의해 제공됩니다. 입주, 교육, 사업 신청 시 요청하는 정보(개인정보 포함)는 해당 기관에서 관리 되오니
이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