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 + 정부 협력으로 만드는 수출 성공 스토리
- 최초작성일 2025-09-30 최종수정일 2025-09-30 조회수 91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9월 29일(월) 유망 소비재 분야 혁신 제품을 선발하여
글로벌 일류 제품으로 성장을 지원하는 「K-수출전략품목」 육성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K-수출전략품목 육성사업은 한류 확산 영향에 힘입어 한국의 소비재 분야 기회요인이 확대됨에 따라,
대중문화 콘텐츠를 넘어 뷰티, 패션 등 우리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중점 지원하기 위해 추진됩니다.
한국의 소비재 분야 수출 중소기업 수는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작년에는 전체 수출 기업 수의 94.9%를 차지할 만큼 중소기업 진출이 활발하고,
중소기업 상위 5대 소비재 수출액에서도 뷰티, 패션 등 K-컬처 관련 분야가 75%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K-수출전략품목은 기존의 중소기업 수출지원정책을 보완하여
민간의 마케팅 역량과 정부의 지원 수단을 연계하는 등
소비재 분야에 특화된 전략을 마련하는 추진체계를 도입합니다.
K-수출전략품목 육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2030년까지 뷰티·패션·라이프·푸드 4대 소비재 분야 수출유망제품 500개를 발굴하여 K-수출전략품목으로 지정합니다.
먼저 올해 80개 내외 지정을 시작으로 내년부터 향후 5년간 매년 유사한 규모로 지정할 계획입니다.
둘째, 유통 대기업 등이 글로벌 플랫폼 입점 지원 또는 글로벌 마케팅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중소기업 수출 촉진자(부스터)로 나섭니다.
이를 위해 올리브영과 무신사, 신세계디에프, 롯데마트가 공개모집 절차 등을 거쳐 협력기관으로 나섰습니다.
셋째, 기술·경영역량 등 기업진단을 거쳐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정책수단을 종합적으로 연계하는 등 수요자 맞춤으로 지원합니다.
특히 규제 대응과 물류애로, 지식재산권(IP) 보호·활용 등 현장애로도 관계부처와 해소해 나갑니다.
넷째, 국가대표 제품으로서 프리미엄급 위상으로 정립합니다.
국내외 소비자 선호도, 성장성 등을 종합 반영해 대규모 판로 행사에 특별 전시관을 설치하는 등 인지도 제고를 지원합니다.
중기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K-수출전략품목 육성은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활용해 우리 중소기업 제품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정부 지원을 고도화하여 해외시장 공략에 집중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올해 K-수출전략품목 참여기업은 9월 30일(화)부터 10월 17일(금)까지 모집하며,
사업공고 및 사업신청 등은 판판대로(https://fanfandaero.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수출전략품목 #중소기업 #글로벌진출
#수출유망제품 #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